본문 바로가기
자유로운 생정

제사상 차례상 홍동백서 조율이시 의 의미와 유래 - 일제강점기의 잔재? 짬뽕된 전통?

by 아셀acell 2024. 2. 9.
반응형


우리나라는 제사상 차례상에 대해 애증이 정말 큰 것 같습니다. 누군가는 필사적으로 모시려고 하고 누군가는 필사적으로 안하려고 하죠.

세대간의 갈등이나 여러 갈등을 피해서라도 이 제사네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해보입니다. 제사는 어떻게 모시는 것이 좋을까요?

사실 실용적 측면에서만 본다면 정성으로, 검소하게 지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입니다. 죽은 분들을 기리기 위해, 옛 추억을 함께 떠올리기 위해, 함께 슬픔을 위로하기 위해 모이는 것이 아마 가장 큰 의미일테니 감당할 수 있을만큼 준비하고 너무 힘들지 않을만큼 다함께 준비해서 같이 먹고 얘기하는 시간을 가지는 것. 그것이 가장 좋은 모양새일 테니까요.





조선 후기 문신이자 유학자인 갈암 이현일(1627~1704년)도 ‘갈암집 제23권_학암처사 정달중의 묘표’ 에서 비슷한 이야기를 했습니다.

(전략) 또 말하기를, “상례와 제례는 형식을 갖추어 잘 치르는 것보다는 슬퍼하는 마음을 가지는 것이 차라리 더 낫고, 사치스럽게 하기보다는 검소하게 하는 것이 차라리 더 낫다.” 하고, 털끝만큼도 남들을 의식해서 지나치게 차리는 일이 없었다.(후략)


갈암은 성리학을 완성한 퇴계 이황의 적통. 위 문장은, 갈암이 인척 관계였던 정달중의 묘표에 적어넣은 ‘정달중의 말’입니다. ‘형식보다 슬퍼하는 마음이 앞서고, 사치스럽기보다는 검소하게’. ‘털끝만큼도 남을 의식해서 지나치게 차리지 마라’. 이것이 조선 후기 최고의 유학자가 전하는, 제사 잘 모시는 방식인 것입니다.

제사 모시는 오늘날의 방식에 대해서는 사실 엉터리 이야기가 너무 많습니다. 우리가 흔히 정석이라고 여기는 말들, 단어들도 그 근원은 사실 없습니다.



홍동백서 조율이시는 일제강점기의 잔재?


홍동백서 조율이시. 오랫동안 제사 모시는 정해진 방식으로 여겨진 규칙이죠.

홍동백서(紅東白西)’는, 제사를 모실 때, 과일을 놓는 순서입니다.

제사 모시는 이를 기준으로 오른쪽이 동쪽, 왼쪽이 서쪽. 그리고 여기이 ‘홍동백서’라 해서, 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놓으라고 합니다. 사전에도 나와 있는 말입니다.

'조율이시(棗栗梨柿)'는 대추, 밤, 배, 감(곶감)의 순서대로 제사상에 놓는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이전 어떤 기록에도 홍동백서, 조율이시는 없습니다. 우리나라 옛날 제사상 차리는 법을 그린 그림은 진설도(陳設圖)인데 진설도 어디에도 홍동백서, 조율이시는 없습니다.

다른 제사법 중 하나인 '어동육서(魚東肉西)'도 마찬가지입니다. 물고기는 동쪽에, 고기는 서쪽에 놓는다는 뜻의 어동육서는 아마도 중국 기준으로 동쪽은 바다, 서쪽은 내륙인데 여기서 시작된 게 아닐까, 라는 추측을 해볼 수 있을 뿐 제사와 관련된 유래는 없습니다. 그나마 옛 문헌에 '중국을 기준으로 동쪽은 바다, 서쪽은 내륙'이라는 말이 있어 여기서 비롯된 기 아닐까 추측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조선시대 제사상은 세종 시대 세종오례의가 전해집니다. 세종대왕의 시대는 조선 초기죠. 건국 직후, 법률을 비롯하여 사회 규범이 제대로 자리 잡지 않았을 때 입니다. ‘세종오례의’가 나온 이유이기도 합니다. 급하게 만든 법령인 것입니다. 이 문서에 제사상 차림이 있는디, 중국 측 자료를 참고하여, 조선에 맞는 ‘공식 제사상 차림’을 만들었습니다.

이 세종오례의에 보면 상차림 앞줄에 ‘생율(밤), 생이(배), 실상(잣), 산자(한과, 과줄, 박산), 은행, 강정, 약과, 호도(호두), 사과, 홍시(감), 대조(대추)’ 등이 나타나긴 합니다만, ‘조율이시’는 어디에도 없습니다.

조율이시는 대추, 밤, 배, 감의 순서인데 ‘세종오례의’에는 밤, 배, 감, 대추의 순서가 나옵니다. ‘조율이시’는 대추[棗, 조]가 가장 먼저고 ‘세종오례의’에는 대추가 가장 나중입니다. 어떨게 된걸까요?

또  ‘세종오례의’에는 호두도 있고, 잣, 은행도 있는데 이것들의 순서는 조율이시로 알 수 없습니다. 조율이시에는 사과도 없죠. 그리고 조선 시대 제사상에는 수박이 없습니다.

제사상에 과일 진설 순서를 정하는 것은 우리 방식이 아닙니다. 1778년 궁중 장례원의 진설도에는 과일 이름이 아예 없습니다. 모든 과일을 ‘實果(실과, 과일)’라고 적었습니다. 종류나 순서도 당연히 정해진 것이 없습니다.



제사상 차례상의 진짜 기원


차례[茶禮]는 애초에 ‘차 한잔 올리는’ 정도로 간소한 의례입니다. 오늘날의 추석, 설날은 이것저것 뒤섞은 ‘짬뽕’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설이나 추석은 사실 오곡백과가 무르익기 전 시즌입니다. 벼는 들판에 서 있고, 과일은 익지 않았죠. 늦은 추석이라도 10월 초, 중순 정도니까 한반도의 추수, 오곡백과가 무르익는 계절인 11월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전통으로 자리잡기 힘든 시즌인 것이죠.

한반도의 현대화는 ‘이농(離農)’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농경사회가 산업사회로 바뀐것이죠. 농촌 인구가 도시로 이주하고, 노동자, 학생들이 고향을 떠나 도시로 갔는데, 제사를 모시기 위해 도시로 간 아들, 딸들이 매번 각자 가문과 조상님들의 제사 시기마다 농촌으로 되돌아가기는 힘듭니다. 도시는 계속 움직여야 하니까요.




그렇게 1년에 두 차례 큰 명절 설날, 추석이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한가위, 오곡백과’의 신화는 이렇게 시작된 것으로 보입니다. 추석날 온 가족이 모이는 ‘아름다운 풍습’이 생겨나게 된 것이죠.

설날, 추석은 ‘민족 최대의 명절’이 되었습니다. 추석, 설날의 제사상은 기제사 상을 따르는데요. 그러다보니 기제사와 차례상이 섞이게 됩니다. 차례(茶禮)와 제사는 같은게 됐죠.

그리고 가장 중요한 건 1969년 ‘가정의례준칙’이 발표되었다는 것입니다. 일제강점기에 어린 시절을 보낸 이들은 정확한 제사의 방식을 모르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1960년대, 이 제사의 방식을 모르는 아이들이 대부분 자라거 제주(祭主)가 되었습니다. 진설 방식이든 뭐든 모르는 이가 훨씬 많았습니다. 나라에 물어보기 시작했죠. 공무원이나 민간 모두 예전 자료를 뒤졌습니다.

하지만 다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의 자료였습니다. 허둥지둥 한국 방식으로 바꾼다도 바꿨지만 뒤섞이게 된 것이죠.


‘홍동백서’는 일본식?


‘홍동백서’도 이 무렵 어물쩍 끼어들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색의 대비는 ‘홍백(紅白)’이 아니라 ‘홍청’입니다. 신랑, 신부는 홍청 으로 여겨져서, 신혼부부의 베개는 홍실, 청실로 꾸밉니다. 태극기도 홍과 청이죠. 위는 홍, 아래는 청.

우리 어린 시절 운동회에서, ‘청백전’을 하던 것도 이렇게 보면 좀 이상한데 위키트리는 이에 대해, 일본에서 건너온 ‘홍백’이 한반도에서 ‘청백’으로 바뀐 것이라고 합니다.

(청백은) 푸른색[靑]과 하얀색[白]으로 편을 갈라 싸우는[戰] 것을 의미한다. 일본에서 헤이안 시대 미나모토 가문과 다이라 가문의 겐페이 전쟁에서 유래한 ‘홍백전’ 문화가 일제강점기를 통해 조선에 넘어온 뒤 대한민국 정부의 왜색 척결 및 반공사상 강화 차원에서 이름이 바뀐 것이다.


일본인들의 ‘홍백’은 뿌리가 깊습니다. 1180년, 원씨(源氏) 가문(흰 깃발)과 평씨(平氏) 가문(붉은 깃발) 사이의 내전, 겐페이 전쟁에서 비롯되었죠. 이때부터 일본의 홍백이 시작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일본 NHK의 연말 가요 프로그램도 ‘홍백가합전(紅白歌合戰)’입니다.

우리는 홍백을 청백으로 바꾸었지만 ‘홍동백서’는 홍백입니다. 그런데 이걸 일본식이라 여기지 않았습니다. 국가에서 준 기준이니까. 하비만 조선 시대 어느 기록에도 홍동백서, 조율이시는 없습니다. “언제, 누가, 왜”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도 없습니다. 아무런 근거가 없는 것입니다. 일본 방식이라는 게 오히려 근거가 있습니다.




그런데도 반드시 이런 전통을 따라야 할까요? 일본의 잔재이기도 하고 그상태로 오랫동안 실행되어 우리에게 익숙해지기도 한 홍동백서 조율이시.

일재의 잔재이니 타파하자거나 그래도 전통이니 고수하자거나 하는 얘기를 하려는 것이 아니라 우리에게 익숙한 것이긴 하나 그것이 정말 꼭 지켜야할 우리나라 진짜 전통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우리가 진짜 되새겨야 할 것은 제사를 모시는 정성 뿐일 것입니다.

제물(祭物)이나 형식은 전통이 아닙니다. 형식은 변하는 것입니다. 변하지 않아야 할 것은 정성. 마음 같은 것들이죠.

그러님가 제사를 잘 모시는 방법은 마음이라는 것입니다. 갈암 이현일도 그런 글을 썼습니다.

형식보다는 진정으로 슬퍼하는 마음, 사치스럽지 않게, 검소하게, 정성스럽게







홍동백서 조율이시,홍동백서 조율이시 뜻,제사상 홍동백서,홍동백서 조율이시 유래,홍동백서 어동육서 제사상 차리는 법,홍동백서 상차림,홍동백서 유래,홍동백서 일본,어동육서 홍동백서,효차림홍동백서,홍동백서 어동육서,홍동백서 뜻,홍동백서 조율시이,홍동백서 조율이시 좌포우혜,홍동백서 박정희,홍동백서 이유,홍동백서 제사상,홍동백서 사자성어,홍동백서 좌포우혜,홍동백서 문어,홍동백서 어원,홍동백서상차림,홍동백서 제사,조율이시 홍동백서


728x90
반응형
LIST

댓글